드라마 악귀는 2023년 SBS를 통해 방영된 오컬트 미스터리 장르로, 대중적인 상업 드라마와는 차별화된 묵직한 분위기와 복합적인 서사를 자랑합니다. 이 작품은 <시그널>, <킹덤>, <지리산> 등을 연출한 김은희 작가가 집필을 맡아, 장르물에 특화된 탄탄한 대본과 구성이 돋보입니다.
특히 악귀는 한국 전통 설화를 현대적인 시선으로 재해석하며, 귀신이라는 단순한 공포 요소를 넘어서 인간의 욕망과 죄의식, 그리고 기억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입니다. 단순한 미스터리 드라마를 넘어서, ‘누가 악귀인가’라는 본질적 물음에 시청자들을 깊이 빠져들게 하죠.
이 드라마는 방영 전부터 "김은희 작가와 김태리의 만남"이라는 점에서 화제를 모았습니다. 장르물에 강한 두 사람이 만들어낼 시너지는 시청자와 평론가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했습니다.
[김태리의 열연과 주인공 캐릭터 분석]
드라마 악귀의 중심에는 배우 김태리가 연기한 '구산영'이라는 인물이 있습니다. 가난하지만 성실하게 살아가는 공시생 산영은, 어느 날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이상한 현상에 시달리기 시작합니다. 이후 그녀는 알 수 없는 존재에 점점 잠식되어 가며, 본인의 정체성마저 의심하게 되죠.
김태리는 이 복합적인 캐릭터를 그야말로 ‘빙의’한 듯 섬세하게 소화해 냅니다. 감정의 폭이 넓고, 광기와 슬픔, 분노를 오가는 연기가 매우 자연스럽습니다. 특히 "눈빛 연기"로 많은 호평을 받은 장면들은 악귀 김태리라는 키워드가 검색어 상위권에 오를 정도로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김태리는 이 작품을 통해 다시 한번 자신의 연기 스펙트럼을 확장시켰고, 그녀가 등장하는 장면마다 깊은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구산영이라는 인물은 악귀에 물들어 가는 동시에 인간적인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아이러니한 존재로 그려지며, 이야기를 이끄는 핵심 축이 됩니다.
[오컬트와 전통 설화가 만난 악귀의 세계관]
드라마 악귀의 가장 강력한 개성은 바로 ‘한국적 오컬트’를 세계관의 중심에 둔 점입니다. 서양식 엑소시즘이나 악령이 아닌, 조선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저승귀, 복귀 등의 개념을 도입해 독창적인 분위기를 구축했습니다.
작중에서는 조상 대대로 얽힌 '복수의 악귀'가 등장하며, 각 인물의 가문과 과거사가 현대와 맞물리는 구조로 서사가 전개됩니다. 악귀는 단순히 사람을 해치는 존재가 아니라, ‘인간의 원한’과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는 매개체로 기능합니다.
김은희 작가는 이 세계관을 구축하며, 민속적 요소를 디테일하게 반영했습니다. 부적, 제사, 굿판 등의 요소가 현대의 서울이라는 배경과 충돌하면서 독특한 긴장감을 자아내죠. 한국 오컬트 드라마로서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며, 전통 설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대표 사례로 손꼽힙니다.
'드라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끝내주는 해결사, 통쾌한 해결의 쾌감을 선사하는 수사극 (1) | 2025.05.09 |
---|---|
닥터 슬럼프 드라마 정보로 보는 따뜻한 위로와 성장의 이야기 (2) | 2025.05.08 |
넷플릭스드라마 ‘재벌X형사’ 리뷰: 재벌과 형사의 통쾌한 수사극 (0) | 2025.05.03 |
피도 눈물도 없이 – 피보다 진한 복수, 눈물보다 짙은 욕망의 드라마 (0) | 2025.05.03 |
세작: 매혹된 자들 – 비밀과 사랑이 교차하는 사극 멜로의 진수 (1) | 2025.05.02 |